✅ 1. 설문조사 개요
-
대상: 초등학교 5학년 학생 및 담당 교사(12개학교 19개학급 428명)
-
목적: 서울 백제역사유적지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만족도 평가
-
방법: 수업 종료 후 설문지 작성(워크북과 병행)
[모집 포스터]
2. 교사 설문조사 결과
수업 만족도
-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내용과 진행 방식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VR 체험 도입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집중도가 높아졌으며, 참여도가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교육 효과
-
학생들이 역사적 가치와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됨.
-
특히 입체지형모형과 VR 기술의 결합이 학생들의 시각적 이해를 도왔다는 긍정적인 피드백.
강사의 전문성
-
강사들이 친절하고 전문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학생들의 참여와 이해를 돕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개선 사항
-
VR 체험 시간이 짧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체험 위주의 활동 확대 요청.
-
일부 교사는 교과서와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3. 학생 설문조사 결과
흥미와 만족도
-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이 **”재미있고 유익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VR 체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실제 유적지를 탐험하는 느낌이 들었다는 의견 다수.
배운 내용
-
“백제의 수도가 한성, 사비, 웅진 등 여러 곳이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
“풍납동 토성, 몽촌토성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배워서 신기했다.”
-
“우리 동네에 이렇게 많은 유적이 있는 줄 몰랐다.”
긍정적인 피드백
-
“선생님의 설명이 이해하기 쉬웠다.”
-
“VR로 배우니 더 재미있었다.”
-
“역사를 배운다는 게 이렇게 재미있는 줄 몰랐다.”
개선 요청
-
VR 체험 시간 확대 요청
-
더 다양한 역사 체험 수업(신라, 고구려 등)에 대한 관심
[강좌 운영사진]
4.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주요 성과
-
역사 교육의 흥미 유발: 기존의 이론 수업보다 학생들의 집중력과 참여도가 눈에 띄게 향상됨
-
문화유산 가치 인식 강화: 지역의 유적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실제 답사로 이어질 가능성 증가
-
디지털 교육의 효과: VR 기술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 부여에 효과적이라는 결과 도출
5. 향후 개선 방향
-
VR 체험 시간 확대 및 콘텐츠 다양화
-
교과 과정과의 연계성 강화
-
다양한 시대의 역사 체험 프로그램 개발(신라, 고려 등)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VR 기반 역사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결과는 향후 더 효과적인 문화유산 교육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