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log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 체험학습 서비스 개발

  1. 개요

최근 정부가 주창하고 있는 창조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초·중학교 지리·역사·일반사회 교과내용이 담긴 체험학습 모바일 앱을 시범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과정의 주요 축으로 부각된 것과 맥을 같이한 것입니다.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답사여행의 형식으로 즐겁게 관찰, 확인하고 이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는 것은 자주학습을 위한 기본 조건이기도 합니다.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학습 서비스 개발 대상지역으로 제주도를 선정하였습니다. 제주도 답사를 통해 발굴된 제주의 지역정보 콘텐츠는 제주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움을 줄 것입니다. 부모들은 제주답사여행 앱을 사용해 아이들과 1박~3박에 이르는 다양한 여행시간을 제주 구석구석에서 흥미롭게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제주를 제대로 보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둘러보아야 제대로 볼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대단한 곳이 바로 제주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제주의 유명 관광지 몇 곳 정도만을 둘러보고 오는 정도가 대부분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주여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모바일 앱을 통해 제주 전 지역의 지리, 역사, 문화 관련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내용

 

본 모바일 앱은 사용자들의 유용성과 편리성을 고려해 초·중교 사회과의 체험활동 요소와 관광 콘텐츠를 적절히 섞어 만든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본 R&D 사업의 독창적 강점입니다. 그러나 약점도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본 모바일 서비스가 학생들의 체험학습활동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있어 다소 지루한 감이 없지 않다는 점입니다. 본 R&D 사업에서는 이와 같은 느낌을 배제하기 위하여 두 가지 전략을 반영시키도록 하였습니다. 다른 교육여행 앱들과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기로 한 것입니다.

 

첫 번째 차별화 전략으로 본 앱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기로 했다는 점입니다. 본 사업 콘텐츠는 기존의 여타 제주 콘텐츠와 달리 실제로 연구진이 발로 뛰어 확보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주 전역에서 새롭게 105개의 POI(지역정보)를 발굴하였습니다. 이 점은 분명 여타의 앱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부분입니다. content originality를 확보한 것입니다. 대학 전공자들이 수개월 동안의 논의 끝에 답사지를 선정했고, 또 답사를 통해 수확된 콘텐츠는 단순 사전적 지식 속에서 정리된 콘텐츠와 차별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두 번째 차별화 전략으로 사용자 참여형 앱을 구축하기로 했다는 점입니다. 이 참여형은 흔히들 말하는 인터넷 쌍방향 참여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연구에서 구사한 참여형 전략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관찰참여입니다. 관찰참여란 제주해녀 체험이나 감귤농장 체험과 같은 단순체험의 경지를 넘어 학생들 스스로가 제주의 자연과 인문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터득할 것인지 고민하며 제주 전역을 생각하게 함을 의미합니다. 비용을 지불하고 배우는 농어촌 프로그램 체험방식이 아닌 제주의 자연과 인간을 통해 제주의 지역성을 깊게 고민해 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참여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 참여형 전략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키피디아 방식의 참여를 채택하기로 한 점입니다. 업로드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평가하고, 그래서 꾸준히 리뉴얼된 앱 콘텐츠는 긴 생명력과 경쟁력을 지닐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작성한 답사지의 관찰 내용은 SNS를 통해 자신들의 리포트 작성에 활용되어 교실 밖 체험학습 결과물을 제출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될 것입니다.

 

상기와 같은 독창적인 콘텐츠 제작 방식과 사용자 참여 전략은 공히 앱 상에서 제시되고 있는 Q&A 정리방식에 의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입니다. 맵 베이스를 통해 얻은 관찰 결과물들은 제주여행의 즐거움을 배가시켜 줄 것이며, 제주 곳곳에서의 학생들의 관찰 체험활동들은 제주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결과

 

본 연구 결과를 한마디로 말하면, 초·중교 사회교과 내용 분석에 근거해 도출, 발굴된 지역 콘텐츠를 교육현장에 반영시킨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했다는 점입니다. 사용자가 현장체험학습 내용을 직접 제작해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만의 참여 콘텐츠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해 본 모바일 앱이 제주의 지리, 역사, 문화, 생태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 학습여행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현장 체험학습 모델개발 과정에서 초·중교 사회교과의 체험학습 주요어를 소단원 분석에 의해 엄선하였으며, 학습모델을 사전학습(준비하기), 현장학습(활동하기), 사후학습(정리하기) 등의 프로세스로 구분해 적용하였습니다. 현장 체험학습 장소로는 사회교과 소단원의 주요어가 포함된 최적지를 선정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장에서 주도적으로 체험학습 콘텐츠를 제작, 참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체험여행 서비스도 개발하였습니다. 사용자들은 체험활동 내용을 기록, 보관해 자신만의 체험여행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역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1.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1. 1.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새롭게 개발된 POI에 현장 체험학습 콘텐츠가 결합되어 지역관광 콘텐츠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은 관광객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본 사업 결과물을 토대로 새로운 시각의 지리, 문화, 역사 지식을 전달하는 메신저 기능을 담당해 체험여행이 일상의 중요 부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역관광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1. 본 체험학습 모바일 앱으로 가족들이 의미 있는 관찰여행을 할 수 있습니다.

 

– 가족끼리 지역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관찰 요소를 생각함으로서 자연스레 지역의 공간성을 공유하게 된다는 점은 쉽게 얻을 수 없는 소중한 여행 추억이 될 것입니다. 가족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은 본 앱이 갖는 또 다른 장점입니다.

 

  1. 교사들의 현장학습 지도를 위한 도우미 역할이 가능합니다.

 

– 학생들에게 어디에서 무엇을 어떻게 보게 할 것인가 하는 내용은 인솔교사들이 항상 생각해야만 하는 현장학습의 고민거리입니다. 본 앱은 공간인식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담임교사나 교과교사가 현장을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 지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 드릴 것입니다.

 

  1. 2017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여행지리’ 교과목에 대한 활용법을 제시합니다.

 

– 여행지리라는 교과목은 고등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모색을 위해 새롭게 구상된 교과목으로, 향후 우리사회의 중요한 블루오션이 될 여행 산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해 줄 것입니다. 또한 여행지리 교과목은 관찰이라고 하는 신개념 여행양식을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볼 때 본 사업에서 개발된 모바일 앱은 그 효용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코멘트 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



최근본 상품 (0)

배송정보
배송조회를 하시려면 송장번호를 클릭하세요
배송조회
상품명
주문번호
택배사
송장번호